페드로 알모도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드로 알모도바르는 스페인 출신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그는 1970년대부터 영화 제작을 시작하여, 동성애, 여성, 종교, 팝 문화 등을 주제로 한 독창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0년 첫 장편 영화 《페피, 루치, 봄 그리고 다른 여자들》을 시작으로, 《여자들의 흔들리는 감정》, 《올 어바웃 마이 마더》, 《토크 투 허》, 《페인 앤 글로리》 등 다수의 작품을 연출했다. 그는 칸 영화제,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등에서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2017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2024년에는 영화 《옆방》으로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우다드레알도 출신 - 프란 가르시아
프란 가르시아는 레프트 백 포지션에서 활약하는 스페인 국적의 축구 선수로, 레알 마드리드 유소년 시스템을 거쳐 라요 바예카노에서 활약하다가 2023년 레알 마드리드로 복귀했으며,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었다. - 시우다드레알도 출신 - 마누엘 수니가
마누엘 수니가는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RCD 에스파뇰, 세비야 FC 등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1980년 하계 올림픽에 스페인 대표로 참가했고,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했다. - 스페인의 성소수자 작가 - 하신토 베나벤테
스페인의 극작가 하신토 베나벤테는 사회 비판과 심리 묘사가 돋보이는 172편의 희곡을 썼으며, 192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자유주의적 군주제 지지 성향을 보였다. - 스페인의 성소수자 작가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비센테 알레익산드레는 스페인의 시인으로, 초현실주의적 산문시를 통해 자연과 인간 내면을 탐구했으며 스페인 내전 당시 사회 참여 활동을 했고, 197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페드로 알모도바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 |
출생일 | 1949년 9월 25일 |
출생지 | 칼사다데칼라트라바, 스페인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
활동 기간 | 1974년–현재 |
파트너 | 페르난도 이글레시아스 (2002년–현재) |
친척 | 아구스틴 알모도바르 (형제) |
![]() | |
로마자 표기 | Pedro Almodóvar Caballero |
스페인어 발음 | /ˈpeðɾo almoˈðoβaɾ kaβaˈʎeɾo/ |
수상 | |
유럽 영화상 | 감독상 (2002년, 2006년) 각본상 (2002년) 신인 감독상 (1988년) 유럽 영화 기여상 (2013년)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황금사자상 (2024년) 각본상 (1988년) 평생 공로상 (2019년)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테디상 (1987년) |
미국 영화 평론가 협회상 | 특별상 (1988년)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외국어 영화상 (1988년, 1999년, 2004년)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감독상 (2002년) 외국어 영화상 (1999년, 2019년) 뉴 제너레이션 상 (1987년) |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외국어 영화상 (1999년, 2009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감독상 (1999년) 오리지널 각본상 (2002년) 비영어 영화상 (2000년, 2002년, 2011년) |
골든 글로브상 | 외국어 영화상 (1999년, 2002년) |
고야상 | 감독상 (1999년, 2006년, 2019년) 각본상 (1988년, 2019년) |
세자르상 | 외국 영화상 (1992년, 1999년) 유럽 연합 작품상 (2002년) 명예상 (1999년) |
아리엘상 | 이베로아메리카 영화상 (2019년) |
전미 비평가 위원회 | 외국어 영화상 (1988년, 1999년, 2002년, 2006년) |
아카데미상 | 각본상 (2002년) 외국어 영화상 (1999년) |
칸 영화제 | 감독상 (1999년) 각본상 (2006년)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1999년) 유스상 (2011년) |
옥스포드 대학교 | 명예 박사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욕망의 법칙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아타메 하이힐 키카 라이브 플래쉬 내 어머니의 모든 것 그녀에게 나쁜 교육 귀향 부서진 포옹 내가 사는 피부 줄리에타 페인 앤 글로리 패러렐 마더스 |
기타 |
2. 초기 생애
페드로 알모도바르 카바예로는 1949년 9월 25일 스페인 시우다드 레알 주의 작은 시골 마을인 칼사다 데 칼라트라바에서 태어났다.[9] 그는 안토니아와 마리아 헤수스라는 두 명의 누나[10]와 아구스틴 알모도바르[11]라는 남동생이 있었다. 아버지 안토니오 알모도바르는 와인 제조업자였고,[12] 어머니 프란시스카 카바예로는 글을 읽고 쓸 줄 모르는 이웃들을 위해 편지를 읽어주고 써주는 일을 했다.[13]
18세에 영화감독이 되기로 결심하고 마드리드로 상경했다. 프랑코가 국립영화학교의 문을 닫았기 때문에 여러 예술활동을 하면서 감각을 키웠다. 22세 때 8mm 카메라를 구입하여 1974년 첫 번째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자금난에도 불구, 카르멘 마우라 등의 도움을 받아 1980년 첫 장편 영화 《페피, 루시, 봄 그리고 다른 많은 여자들》을 제작, 컬트적인 인기를 얻으며 예산의 7배에 달하는 흥행 수익을 거두었다.
8살 때, 가족은 그가 사제가 되기를 바라며 스페인 서부 엑스트레마두라 카세레스의 종교 기숙학교에 보냈다.[7] 가족은 카세레스로 이주했고, 아버지는 주유소를, 어머니는 와인 저장고 겸 판매점(보데가)을 열었다.[12][14] 카세레스에는 영화관이 있었는데,[15] 훗날 인터뷰에서 "영화는 사제에게서 받은 교육보다 훨씬 더 나의 진정한 교육이 되었다"고 말했다.[16] 알모도바르는 루이스 부뉴엘의 영향을 받았다.[17]
1967년, 부모의 반대에도 영화 제작자가 되기 위해 마드리드로 이주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마드리드 국립 영화학교를 폐쇄하여, 독학으로 영화를 배웠다.[7] 생계를 위해 마드리드의 벼룩시장 엘 라스트로에서 중고 물품을 팔거나, 스페인 통신 회사 텔레포니카에서 12년 동안 행정 보조원으로 일했다.[18]
3. 경력
이후 거의 매년 한 편씩 작품을 발표했다. 초기부터 중기까지 독특한 스토리와 세계관, 강렬한 색채 감각으로 국내외에서 열렬한 팬을 확보했다. 1987년 7번째 작품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에 노미네이트되는 등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99년 《올 어바웃 마이 마더》로 칸 국제 영화제 감독상과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다. 2002년 《그녀에게》는 비영어 영화로서 1966년 《남과 여》 이후 처음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했다. 2006년 《귀향》은 칸 국제 영화제 각본상과 여우주연상(페넬로페 크루즈, 카르멘 마우라, 로라 두에냐스, 블랑카 포르티요, 요하나 코보, 추스 람프레아베 등 6명)을 받았고, 페넬로페 크루즈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200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2009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화 예술 공헌으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 제70회 칸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148]
2019년 반자전적 영화 《페인 앤 글로리》로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제72회 칸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았고, 제92회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 및 국제 장편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같은 해 제76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오랜 공로로 명예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3. 1. 1974–1979: 초기 단편 영화
알모도바르는 22세에 텔레포니카에서 받은 첫 월급으로 최초의 슈퍼 8(슈퍼 8) 카메라를 구입하고 핸드헬드 단편 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24] 1974년경 그는 첫 번째 단편 영화를 제작했고, 1970년대 말까지 마드리드의 나이트 서킷과 바르셀로나에서 상영되었다. 이 단편 영화들은 노골적인 성적 묘사를 담고 있었고 사운드트랙이 없었다. 그는 "술집이나 파티에서 영화를 상영했습니다... 사운드트랙을 추가할 수 없었는데, 너무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자기 테이프가 매우 엉성하고 얇았습니다. 영화에 소리가 없었기 때문에 제가 직접 모든 등장인물의 목소리, 노래, 대사를 맡아 음악이 담긴 카세트를 가지고 다녔기 때문에 마드리드에서 매우 유명해졌던 것을 기억합니다."라고 회상한다.[26]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제작된 그의 단편 영화는 다음과 같다:[25]3. 2. 1980–1987: 초기 장편 영화와 명성
알모도바르는 라는 매우 적은 예산으로 첫 장편 영화인 '''페피, 루치, 봄'''(1980)을 제작했으며,[28] 16mm로 촬영한 후 35mm로 확대했다.[29] 이 영화는 그가 직접 집필한 만화 ''일반 발기''를 바탕으로, 강간범 경찰에게 복수하려는 페피(카르멘 마우라), 피학적인 주부 루치(에바 시바), 레즈비언 펑크 록 가수 봄(알래스카)의 예상치 못한 우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라 모비다 마드리레냐에서 영감을 받은 '''페피, 루치, 봄'''은 많은 키치 요소, 캠프 스타일, 터무니없는 유머, 그리고 노골적인 성(뜨개질 수업 중간에 골든 샤워 장면이 등장한다)을 통해 당시의 문화적, 성적 자유를 표현했다.
이 영화는 세련되지 못한 촬영 기법으로 주목받았지만, 알모도바르는 영화의 결점을 긍정적으로 회상했다. "영화에 결점이 하나 또는 두 개만 있다면 불완전한 영화로 간주되지만, 기술적인 결함이 많으면 스타일이라고 부릅니다. 영화를 홍보할 때 농담 삼아 한 말이지만, 그게 더 진실에 가까웠다고 생각합니다." [30]
'''페피, 루치, 봄'''은 1980년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에서 초연되었으며,[31] 보수적인 비평가들의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에서 컬트적 인기를 얻었다. 독립 영화 상영회를 순회한 후 마드리드의 알파빌 극장에서 심야 상영으로 3년 동안 상영되었다.[32] 성과 사회적 관습에 대한 영화의 불경스러움은 현대 비평가들로 하여금 1970년대 존 워터스의 영화와 비교하게 만들었다.[33]
두 번째 장편 영화인 '''열정의 미궁'''(1982)는 색정광 팝스타 섹실라(세실리아 로스)가 게이 중동 왕자 리자 니로(이마놀 아리아스)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그들의 운명은 서로를 찾고, 성적 취향을 극복하며 열대 섬에서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프랑코의 권위주의 정권 해체와 AIDS에 대한 인식이 시작되는 시기, 마드리드의 라 모비다 마드리레냐를 배경으로 한 '''열정의 미궁'''은 마드리드의 해방 정신을 포착하여 컬트 영화가 되었다.[34]
이 영화는 알모도바르와 촬영감독 안헬 루이스 페르난데스의 첫 번째 협업이자, 배우 안토니오 반데라스와의 여러 차례 협업 중 첫 번째 작품이다. '''열정의 미궁'''은 1982년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에서 초연되었으며,[35] 전작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알모도바르는 "더 잘 만들 수도 있었지만, 영화가 마음에 듭니다. 주된 문제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가 모든 조연들의 이야기보다 훨씬 덜 흥미롭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바로 그 많은 조연들 덕분에 영화에서 제가 좋아하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라고 인정했다. [34]
다음 영화인 '''나쁜 버릇'''(1983)을 위해 알모도바르는 여자 친구 크리스티나 산체스 파스쿠알을 주연으로 한 영화를 제작하는 제작사를 설립하려는 백만장자 에르베 아슈엘에게 접근받았다.[36] 아슈엘은 테수아로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알모도바르에게 파스쿠알을 염두에 두도록 요청했다. 알모도바르는 이미 '''나쁜 버릇'''의 각본을 완성했고, 파스쿠알의 연기 경험이 부족하여 주연으로 캐스팅하는 것을 주저했다. 그녀가 캐스팅되자, 그는 조연 배우들이 이야기에서 더욱 두드러지도록 각본을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영화는 코믹한 요소가 포함된 음울한 멜로드라마로의 변화를 보여준다. 파스쿠알은 각자 다른 죄를 탐구하는 기이한 수녀들의 수녀원에서 피난처를 찾는 카바레 가수 요란다 역을 맡았다. 이 영화에는 카르멘 마우라, 줄리에타 세라노, 마리사 파레데스, 추스 람프레아베 등 알모도바르가 후속 영화에서 다시 캐스팅한 여배우들이 거의 전부 출연한다. 이것은 알모도바르가 감정 표현에 대중 음악을 사용한 첫 번째 영화이다. 중요한 장면에서 수녀원장과 그녀의 제자는 루초 가티카의 볼레로 "엔카데나도스"를 함께 부른다.
'''나쁜 버릇'''은 베니스 영화제에서 초연되었고, 그 주제 때문에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7] 영화에 대해 불쾌감을 표한 종교계 비평가들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겸손한 비평적 및 상업적 성공을 거두어 알모도바르의 스페인 영화의 ''앙팡 테리블''로서의 명성을 확고히 했다.
카르멘 마우라는 알모도바르의 네 번째 영화인 '''내가 뭘 잘못 했길래'''에서 불행한 주부 글로리아 역을 맡았다. 그녀는 감사할 줄 모르는 남편 안토니오(안헬 데 안드레스 로페스), 시어머니(추스 람프레아베), 두 명의 십대 아들들과 함께 산다. 베로니카 포르케는 그녀의 매춘부 이웃이자 절친으로 등장한다.
알모도바르는 네 번째 영화를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에 대한 경의로 묘사했지만, 이 경의에는 소아성애, 매춘, 염력을 가진 아이에 대한 농담도 포함되어 있다. 프랑코 이후 스페인 마드리드 주변의 고층 건물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장 뤼크 고다르의 ''그녀에 관해 내가 아는 두세 가지''와 로알드 달의 ''양의 희생 제물'' 및 트루먼 카포티의 ''하루의 일''[38]의 강력한 스토리 플롯을 반영하면서 여성의 좌절과 가정의 붕괴를 묘사하지만, 알모도바르만의 독특한 영화 제작 방식을 사용한다.
알모도바르의 성공은 신흥 스페인 영화 제작자 안드레스 비센테 고메즈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다음 영화인 '''마타도르'''(1986)를 함께 제작하고 싶어했다. 이 영화는 전직 투우사와 살인적인 여성 변호사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며, 둘 다 살인 행위를 통해 성적 만족을 얻는다.
스페인 소설가 헤수스 페레로와 함께 집필한 '''마타도르'''는 감독의 이전 작품의 자연주의와 유머에서 벗어나 더욱 깊고 어두운 영역으로 들어갔다. 알모도바르는 여러 주요 배우들을 주요 역할에 캐스팅했다. 안토니오 반데라스는 강간 미수 사건 후 자신이 저지르지 않은 일련의 살인을 허위 자백하는 투우 학생 안헬 역을 맡았고, 줄리에타 세라노는 안헬의 매우 독실한 어머니로 출연했으며, 카르멘 마우라, 추스 람프레아베, 베로니카 포르케, 에우세비오 폰셀라도 조연으로 출연한다. 나중에 알모도바르와 다시 작업하게 되는 신예 나초 마르티네즈와 아숨프타 세르나는 조연으로 출연했다. '''마타도르'''는 알모도바르가 주목할 만한 영화적 언급을 포함한 첫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한 장면에서 킹 비더의 ''태양의 결투''를 사용했다.
이 영화는 1986년에 초연되어 주제 때문에 논란을 일으켰다. 알모도바르는 폭력 사용에 대해 "제 영화의 교훈은 더 큰 자유의 단계에 도달하는 것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알모도바르는 "저는 저만의 도덕관이 있습니다. 제 영화도 마찬가지입니다. 전통적인 도덕의 관점에서 '''마타도르'''를 본다면, 단지 살인을 찬양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한 영화입니다. '''마타도르'''는 전설과 같습니다. 저는 현실적이 되려고 노력하지 않습니다. 매우 추상적이어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동일시는 느끼지 못하지만, 이러한 종류의 낭만주의의 감수성에는 공감하게 됩니다."라고 말했다.[39]
3. 3. 1988–2002: 국제적 성공과 비평적 인정
알모도바르의 첫 번째 주요 비평적 및 상업적 성공은 1988년 영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의 개봉으로 이루어졌다. 이 영화는 제45회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데뷔했다. 빠른 대사와 빠른 전개의 페미니스트적 경쾌한 코미디는 조지 쿠커와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와 같은 "여성 감독"으로서 알모도바르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알모도바르는 여성이 더 나은 캐릭터를 만든다고 말했다. "여성은 극적인 주제로서 더욱 훌륭하고, 더 넓은 범위의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41]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는 결혼한 남자친구 이반(페르난도 기옌)에게 갑자기 버려진 페파(카르멘 마우라)를 중심으로 한다. 이틀 동안 페파는 그를 필사적으로 찾으려 한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그의 비밀들을 발견하고 자신의 진정한 감정을 깨닫는다. 알모도바르는 안토니오 반데라스, 추스 람프레아브, 로시 드 팔마, 키티 만베르, 줄리에타 세라노를 포함한 그의 단골 배우들과 신예 마리아 바랑코를 포함한 많은 배우들을 기용했다.
이 영화는 1988년 3월 스페인에서 개봉되어 미국에서도 히트를 기록하며 같은 해 후반에 700만달러 이상을 벌어들여[42] 미국 관객들에게 알모도바르를 알렸다.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는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편집상(호세 살세도), 최우수 여우주연상(마우라), 최우수 여우조연상(바랑코)를 포함하여 고야상 5개를 수상했다. 이 영화는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고 유럽 영화상에서 2개의 상을 수상했으며, BAFTA와 골든 글로브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또한 알모도바르에게 아카데미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 지명이라는 첫 영예를 안겨주었다.[43]
알모도바르의 다음 영화는 그와 카르멘 마우라의 협업의 끝과 빅토리아 아브릴과의 결실 있는 협업의 시작을 알렸다. ''욕망의 낮과 밤'' (1990)는 정신병원에서 막 나온 리키(안토니오 반데라스)가 자신과 사랑에 빠지게 하기 위해 포르노 스타 마리나(아브릴)를 납치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중심에 있는 매력적인 관계, 즉 여배우와 그녀의 납치범이 문자 그대로 권력을 놓고 싸우고 사랑을 간절히 원하는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영화의 제목인 ''나를 묶어줘!''는 놀랍게도 여배우가 진심으로 요청하는 대사로 나온다. 그녀는 탈출할지 여부를 모르고, 납치범에게 감정이 있다는 것을 깨닫자 기회를 주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어두운 요소에도 불구하고, ''욕망의 낮과 밤''는 로맨틱 코미디로 묘사될 수 있으며, 감독의 가장 명확한 사랑 이야기로, 윌리엄 와일러의 스릴러 ''수집가 (The Collector)''와 유사한 플롯을 가지고 있다.
''욕망의 낮과 밤''는 베를린 영화제에서 전 세계 최초로 공개되어 극명하게 갈리는 비평적 반응을 얻었다. 미국에서는 미국 영화 협회(MPAA)로부터 X등급을 받았고, X등급에 따른 낙인 때문에 미국 내 배급이 제한되었다. 미국에서 영화를 배급한 미라마스는 X등급에 대해 MPAA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 그러나 1990년 9월 MPAA는 X등급을 NC-17등급으로 바꿨다. 이는 이전에 X등급 때문에 포르노로 분류되었던 ''욕망의 낮과 밤''와 같은 노골적인 영화에 도움이 되었다.[44]
''하이힐'' (1991)은 유명 가수 베키 델 파라모(마리사 파레데스)와 뉴스 리포터인 딸 레베카(빅토리아 아브릴) 사이의 파탄난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두 사람은 살인 미스터리에 휘말린다. 레베카는 끊임없이 어머니의 그늘에 가려 힘들어한다. 레베카가 베키의 전 애인과 결혼했다는 사실은 두 사람 사이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킨다.
이 영화는 ''스텔라 달라스'', ''밀드레드 피어스'', ''인생의 모방'', 특히 영화에 직접 인용된 ''가을 소나타''와 같은 할리우드식 모녀 멜로드라마에서 영감을 받았다. 1990년에 제작이 이루어졌으며, 알모도바르는 호세 루이스 알케인이 출연하지 못하자 알프레도 마요를 고용했다. 일본 작곡가 사카모토 류이치는 인기곡과 볼레로를 혼합한 음악을 만들었다. ''하이힐''에는 감옥 마당에서의 춤 장면도 포함되어 있다.
''하이힐''은 스페인에서 흥행에 성공했지만, 멜로드라마적인 접근 방식과 예상치 못한 어조 변화 때문에 스페인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더 나은 평가를 받았으며, 프랑스의 세자르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미국에서는 미라마스의 홍보 부족이 미국 내 저조한 성적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러나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그의 다음 영화 ''키카'' (1993)는 심성은 착하지만 어리숙한 메이크업 아티스트 키카(베로니카 포르케)가 미국 작가(피터 코요테)와 그의 의붓아들(알렉스 카사노바스)의 삶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끊임없이 선정적인 이야기를 찾는 패셔너블한 TV 리포터(빅토리아 아브릴)는 키카의 불운한 모험을 따라간다. 알모도바르는 ''키카''를 대중매체, 특히 그 선정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사용했다.
이 영화는 알모도바르가 매체의 이기적이고 무자비한 본성에 대한 통렬한 논평을 설정하기 위해 코믹한 효과를 위해 사용한 강간 장면으로 악명이 높다. ''키카''는 1993년에 초연되어 전 세계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단지 여성혐오적이고 착취적인 것으로 여겨진 강간 장면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엉성함 때문이었다. 알모도바르는 나중에 이 영화를 자신의 가장 약한 작품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내 비밀의 꽃'' (1995)에서 이야기는 성공한 로맨스 작가 레오 마시아스(마리사 파레데스)가 직업적, 개인적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춘다. 국제 평화 유지 임무를 위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자원하여 그녀를 피하는 군인 남편과 떨어져 사는 레오는 이미 놓쳐버린 과거를 붙잡으려고 애쓰지만, 자신의 창의력과 다른 사람들의 창의적인 노력을 지원함으로써 이미 자신의 미래의 길을 설정했음을 깨닫지 못한다.
이는 알모도바르가 작곡가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와 촬영 감독 아폰소 비아토를 처음으로 기용한 것으로, 이들은 미래 영화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내 비밀의 꽃''은 그의 초기 스타일과 후기 스타일 사이의 과도기적 영화다. 이 영화는 1995년 스페인에서 초연되었는데, 7개의 고야상 후보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살아있는 살점'' (1997)은 알모도바르의 각색 각본을 사용한 첫 번째 영화였다. 루스 렌델의 소설 ''살아있는 살점 (Live Flesh)''을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경찰관을 불구로 만든 후 감옥에 간 한 남자가 수년 후 출소하여 속죄를 구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알모도바르는 소설의 원래 배경인 영국을 스페인으로 옮겨 프랑코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1970년부터 프랑코 정권의 억압에서 완전히 벗어난 1996년까지의 스페인을 배경으로 설정했다.
''살아있는 살점''은 알모도바르가 페넬로페 크루즈와 처음으로 협업한 작품으로, 크루즈는 빅터를 낳는 매춘부 역을 맡았다. 또한 알모도바르는 하비에르 바르뎀을 경찰관 데이비드 역으로, 리베르토 라발을 속죄를 구하는 범죄자 빅터 역으로 캐스팅했다. 이탈리아 배우 프란체스카 네리는 데이비드와 빅터와 복잡한 삼각관계를 펼치는 전 마약 중독자 역을 맡았다.
''살아있는 살점''은 1997년 뉴욕 영화제에서 초연되었다. 이 영화는 국제 박스오피스에서 중간 정도의 성적을 거두었고, 알모도바르에게 두 번째 BAFTA 후보 지명(영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안겨주었다.
알모도바르의 다음 영화 ''올 어바웃 마이 마더'' (1999)는 ''내 비밀의 꽃''의 짧은 장면에서 비롯되었다. 줄거리는 십대 아들 에스테반(엘로이 아소린)을 비극적인 사고로 잃은 여성 마누엘라(세실리아 로스)를 중심으로 한다. 슬픔에 잠긴 마누엘라는 에스테반의 트랜스젠더 어머니 롤라(토니 칸토)를 찾아 그녀가 몰랐던 아들의 죽음을 알리기로 결심한다. 그 과정에서 마누엘라는 오랜 친구 아그라도(안토니아 산 후안)를 만나고 임신한 수녀 로사(페넬로페 크루즈)를 만난다.
이 영화는 자매애와 가족의 힘이라는 알모도바르의 친숙한 주제를 다시 다룬다. 알모도바르는 이 영화의 일부를 바르셀로나에서 촬영했고, 도시의 풍부함을 강조하기 위해 화려한 색상을 사용했다. 베티 데이비스, 로미 슈나이더, 제나 로울랜즈에게 헌정된 ''올 어바웃 마이 마더''는 무대 뒤 설정에서부터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와 테네시 윌리엄스의 작품을 모델로 한 줄거리, 그리고 인물들의 연기 방식에 대한 집착에 이르기까지 연극성이 짙다. 알모도바르는 미국 영화에 대한 여러 가지 언급을 삽입한다. 마누엘라가 아들의 죽음을 지켜보는 영화의 핵심 장면 중 하나는 존 카사베테스의 1977년 영화 ''오프닝 나이트''에서 영감을 받았다. 영화 제목은 또한 마누엘라와 그녀의 아들이 영화에서 보고 있는 ''이브의 모든 것''을 연상시킨다. 영화의 코믹 릴리프는 수술 전 트랜스젠더 여성인 아그라도에게 집중되어 있다. 한 장면에서 그녀는 자신의 몸과 성형 수술 및 실리콘과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자신의 철학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당신이 꿈꿔왔던 자신과 더욱 닮아갈수록 더욱 진실된 자신이 될 수 있다."[45]
''올 어바웃 마이 마더''는 1999 칸 영화제에서 개막되어 알모도바르는 최우수 감독상과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모두 수상했다.[46] 이 영화는 강력한 비평적 호평을 받았고 전 세계적으로 670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47] ''올 어바웃 마이 마더''는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같은 부문의 골든 글로브상, BAFTA상 최우수 감독상과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그리고 스페인에서 6개의 고야상을 포함하여 스페인 영화 산업의 다른 어떤 영화보다 많은 상과 영예를 받았다.[48]
''올 어바웃 마이 마더''의 성공 이후, 알모도바르는 자신의 제작사 엘 데세오에 집중하기 위해 영화 제작에서 휴식을 취했다. 이 휴식 기간 동안 알모도바르는 ''그녀에게'' (2002)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는데, 이 영화는 하비에르 카마라와 다리오 그란디네티가 연기하는 두 남자가 사랑하는 혼수상태에 빠진 여자(레오노르 왓링과 로사리오 플로레스가 연기)를 돌보면서 친구가 되는 이야기다. 현대 무용과 무성 영화 제작의 요소들을 결합하여 우연과 운명을 포용하는 서사를 통해, 알모도바르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불운에 휘말린 등장인물들의 삶을 예상치 못한 결말로 이끌어간다.
''그녀에게''는 2002년 4월 스페인에서 개봉되었고, 같은 해 9월 텔루라이드 영화제에서 국제 초연을 가졌다. 이 영화는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고, 특히 미국에서 예술 영화 관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49] ''그녀에게''에 대한 만장일치의 칭찬은 알모도바르가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하고, 최우수 감독상 부문에도 후보로 오르면서 두 번째 아카데미상을 수상하는 결과로 이어졌다.[49] 이 영화는 또한 세자르상 최우수 유럽 연합 영화상과 BAFTA상, 그리고 골든 글로브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모두 수상했다.[49] ''그녀에게''는 전 세계적으로 510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50]
3. 4. 2004–2016: 다양한 장르와 주제 탐구
나쁜 교육(2004)은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과 펠레 마르티네스가 주연한 영화로, 아동 성학대와 혼란스러운 정체성을 다룬다. 1960년대 초 종교 학교에서 두 아이, 이냐시오와 엔리케는 사랑, 영화, 그리고 공포를 경험한다. 이 영화는 영화 속의 영화 뿐만 아니라 현실과 상상을 넘나드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톨릭 사제의 성적 학대, 트랜스젠더, 약물 남용, 메타픽션 등의 주제를 다룬다.[51][52][53] 2004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된 최초의 스페인 영화였으며,[54] 전 세계적으로 400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55]
귀향(2006)은 코미디, 가족 드라마, 유령 이야기가 혼합된 영화로, 라 만차를 배경으로 3대에 걸친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페넬로페 크루즈, 롤라 두에냐스, 블랑카 포르티요 등이 출연하며, 칸 영화제 각본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페넬로페 크루즈는 여우주연상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으며, 이는 스페인 여성 최초였다. 귀향은 알모도바르의 최고 흥행 영화가 되었다.[56]
브로큰 임브레이스(2009)는 맹인 소설가 해리 케인(유이스 호마르)을 중심으로 한 로맨틱 스릴러이다. 그는 영화 제작자로서의 과거와 시력을 잃게 된 비극을 이야기한다. 케인의 과거에서 중요한 인물은 떠오르는 여배우 레나(페넬로페 크루즈)로, 케인 및 백만장자 에르네스토(호세 루이스 고메즈)와 삼각관계에 휘말린다. 로드리고 프리에토가 촬영을 맡아 독특한 음영과 그림자로 다양한 시대를 구분했다.[57] 2009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경쟁작이었으며,[58] 전 세계적으로 30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59] 로저 에버트는 "원색에 취한 영화의 관능적 즐거움"이라며 극찬했다.[60]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과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61][62]
내가 사는 피부(2011)는 알모도바르가 처음으로 심리적 공포 장르에 도전한 작품이다.[64] 화상을 견딜 수 있는 피부를 만드는 데 집착하는 성형외과 의사 로베르토(안토니오 반데라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로베르토는 자신의 연구의 열쇠가 자신의 저택에 갇혀 있는 환자라고 믿는다.[65] 이 영화는 알모도바르와 안토니오 반데라스가 21년 만에 재회한 작품이다.[66] 엘레나 아나야가 갇힌 환자 베라 크루즈 역을 맡았다.[67] 2011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으며,[68] 영국 아카데미상 비영어권 영화상을 수상하고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69][70]
아임 소 익사이티드(2013)는 거의 전적으로 비행 중인 항공기에서 벌어지는 코미디 영화이다.[71] 일등석 승객, 조종사, 세 명의 게이 승무원들이 착륙 장치 고장에 대처하며 사랑과 자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알모도바르는 초기 작품의 캠피 유머를 적극적으로 사용했다.[72] 세실리아 로스, 하비에르 카마라 등 알모도바르의 단골 배우들과 안토니오 반데라스, 페넬로페 크루즈가 카메오로 출연했다.
줄리에타(2016)는 알모도바르가 "여성의 영화"로 돌아온 작품이다.[75] 엠마 수아레스와 아드리아나 우가르테가 주인공 줄리에타의 나이든 버전과 젊은 버전을 연기하고, 로시 드 팔마가 조연으로 출연했다.[76][77] 원래 제목은 침묵이었으나,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동명의 영화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변경했다.[78] 2016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경쟁작이었으며,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스페인 출품작이었으나 최종 후보에는 오르지 못했다.[79]
3. 5. 2019–현재: 최근 작품
알모도바르의 영화 ''페인 앤 글로리''(Dolor y gloria)는 2019년 3월 22일 스페인에서 개봉되었다.[80] 이 영화는 2019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경쟁작으로 선정되었다.[81] 이 영화는 만성 질환과 작가 블록으로 고통받는 노년의 영화감독(안토니오 반데라스 분)이 자신의 삶을 회상하며 어린 시절을 떠올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페넬로페 크루즈는 영화 속 회상 장면에서 주인공의 어머니 하신타 역을 맡았다. 알모도바르는 이 영화를 반자전적 영화라고 설명했다.[82] 이 영화는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에 올랐으나,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2020년 7월, 아구스틴 알모도바르는 그의 형이 코로나19 범유행 봉쇄 기간 동안 차기작 ''패러렐 마더스''의 각본을 완성했다고 발표했다.[83] 페넬로페 크루즈 주연의 이 드라마는 같은 날 아이를 낳은 두 어머니의 이야기로, 아이를 키우는 첫 1~2년 동안 두 사람의 평행적인 삶을 따라간다. 영화는 2021년 2월 촬영을 시작하여 제7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으며, 크루즈는 볼피컵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는데, ''할리우드 리포터''의 데이비드 루니는 "세계에서 가장 소중한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의 완벽한 재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는 50년 가까이 이어지는 경력에서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며, 관객의 눈을 즐겁게 할 뿐만 아니라 그가 분명히 사랑하는 인물들의 감정적 삶에 대한 몰입도를 잃지 않게 한다."라고 평했다.[84] 이 영화는 골든 글로브상과 인디펜던트 스피릿상 최우수 국제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촬영 지연으로 인해, 알모도바르가 이전에 발표했던 루시아 베를린의 단편 소설집 ''A Manual for Cleaning Women''의 영화화는 연기되었다. 케이트 블란쳇이 주연을 맡을 예정이었던 이 작품은 알모도바르의 첫 영어 장편 영화가 될 예정이었다.[83]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알모도바르는 틸다 스윈튼 주연의 단편 영화 ''휴먼 보이스''(2020)를 감독했다. 장 코크토의 동명 희곡을 원작으로 한 이 단편 영화는 제77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그는 또 다른 단편 영화 ''스트레인지 웨이 오브 라이프''(2023)를 감독했는데, 이는 에단 호크와 페드로 파스칼 주연의 서부극 드라마이다. 이 영화는 2023 칸 영화제에서 호평 속에 처음 공개되었고,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를 통해 극장에서 개봉되었다.[85]
2024년, 알모도바르는 첫 단편 소설집을 출간했다.[86] 알모도바르가 "조각난 자서전"이라고 설명한 ''마지막 꿈''에는 그의 조수 로라 가르시아가 보관해 온 12편의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그중 일부는 50년도 더 된 것으로 알모도바르가 10대였을 때 쓴 것이다.[87][88]
알모도바르의 영화 ''옆방'' 제작은 2024년 3월에 시작되었다.[89] 틸다 스윈튼과 줄리안 무어가 출연하는 이 영화는 알모도바르의 첫 영어 장편 영화이다. 이 영화는 2024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여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스페인 영화가 되었다.[90]
4. 예술성
알모도바르는 스페인 영화 잡지인 《Fotogramas》에서 언급되었듯이, 반복되는 주제와 스타일 특징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세계관을 구축했다.[91] 작가는 알모도바르 영화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아홉 가지 주요 특징을 지적했다. 동성애, 여성 주인공, 신성모독적인 가톨릭, 립싱크, 가족 카메오 출연, 과도한 키치와 캠프(스타일), 서사적 간주, 그리고 텍스트 간의 상호 작용이다.[91]
《Slate》지의 준 토마스는 불법적인 약물 남용, 편지 쓰기, 스파이 활동, 스토킹, 매춘, 강간, 근친상간, 트랜스젠더, 구토, 영화 제작, 최근 수감자, 교통사고, 그리고 여성의 화면 속 배뇨가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모티프임을 인지했다.[107]
알모도바르는 대담한 색채와 독창적인 카메라 각도 사용, 그리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영화적 참고 자료, 장르적 기준, 그리고 마치 뮤지컬의 노래와 같은 기능을 하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두각을 나타냈다.[92] 정교한 장식과 영화 속 패션의 중요성은 알모도바르의 미장센 디자인을 구성하는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이다.[93]
음악 또한 중요한 특징인데, 팝송부터 볼레로까지 알베르토 이글레시아스의 오리지널 작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94] 일각에서는 알모도바르가 같은 주제와 스타일 특징을 집요하게 반복하는 것을 비판하지만, 다른 일각에서는 그가 "매번 새롭게 만들어내는 창의성"을 칭찬했다.[107] 국제적으로 알모도바르는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오토르로 칭송받았으며, 그의 독특한 스타일을 정의하기 위해 "알모도바리아노"(Almodovarian)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95][96]
알모도바르는 다양한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북미 영화계 인물, 특히 할리우드의 거장 조지 큐커와 빌리 와일더,[97] 그리고 존 워터스와 앤디 워홀의 저항적이고 혁신적인 영화[98]가 포함된다. 더글러스 서크의 멜로드라마와 알프레드 히치콕의 스타일 차용도 그의 작품에 나타난다.[99][100] 그는 또한 스페인 영화사의 인물들, 감독 루이스 가르시아 베를랑가,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에드가르 네빌뿐만 아니라 극작가 미겔 미우라와 엔리케 하르디엘 폰셀라에게서도 영감을 얻었다.[100][101][102] 많은 사람들이 알모도바르를 "루이스 부뉴엘 이후 가장 유명한 스페인 영화 제작자"로 칭송한다.[94][96] 다른 외국 영화 제작자로는 잉마르 베리만,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페데리코 펠리니, 그리고 프리츠 랑이 있다.[103]
영화와 연극, 문학, 무용, 회화, 텔레비전, 광고에 대한 언급은 "알모도바르가 스크린 위에 구축하는 세계의 중심"이다.[104] 영화 평론가 호세 아로요는 알모도바르가 "영화 역사에서 무차별적으로 차용한다"고 지적했다.[104]
알모도바르는 "내 영화에는 항상 영화가 존재하며, 특정 영화는 내 각본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내가 영화의 발췌문을 삽입할 때, 그것은 헌사가 아니라 노골적인 절도다. 그것은 내가 말하는 이야기의 일부이며, 항상 수동적인 무언가인 헌사가 아니라 적극적인 존재가 된다. 나는 내가 본 영화들을 자신의 경험 속으로 흡수하며, 그것은 즉시 내 등장인물의 경험이 된다"고 인정했다.[105]
알모도바르는 자신의 작품에서 많은 다양한 예술가와 장르의 작품을 언급했는데, 때로는 디에게틱적으로 언급되거나 덜 직접적인 방법으로 환기되었다.[104] 알모도바르는 또한 자신의 작품 내에서 영화에 대한 자기 언급을 했다.[106]
카르멘 마우라, 빅토리아 아브릴, 마리사 파레데스, 페넬로페 크루즈를 포함한 스페인에서 가장 유명한 여배우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알모도바르는 여성 중심 영화, 그의 "여성에 대한 공감적인 묘사"[107] 그리고 "과로하는 여성들의 평범한 공간"을 고양시킨 것으로 유명해졌다.[108] 그는 모든 일이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클래식 할리우드 영화의 큰 영향을 받았고, 그 전통을 계속 이어가고자 한다.[24] 알모도바르는 어린 시절 강력한 여성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던 것에 대해 자주 이야기했다. "여성들은 매우 행복했고, 열심히 일했고, 항상 말했다. 그들은 나에게 첫 번째 감각을 전달해 주었고, 나의 성격을 형성했다. 여성은 나에게 모든 것을 대표했고, 남성은 부재했고 권위를 대표했다. 나는 남성적인 모습과 결코 동일시하지 않았다. 모성은 부성보다 나에게 더 큰 영감을 준다."[109]
《Popmatters》의 한 비평가는 알모도바르가 여성이 비극과 역경을 극복하는 모습과 여성 간의 깊은 유대 관계의 힘에 관심이 있다고 지적한다.[110] 《AVClub》의 라이언 블라스텔리카는 이렇게 썼다. "그의 많은 등장인물은 비잔틴적인 줄거리를 따라 카타르시스적인 재회, 모든 것이 이해될 수 있지만 용서받지는 못할 수도 있는 만남을 향해 나아간다. 그들은 구원을 추구한다."[92] 알모도바르는 보통 특정 배우를 위해 역할을 쓰지는 않지만, 영화에 캐스팅한 후에는 배우에게 맞게 캐릭터를 맞춤 제작한다고 말했다.[111] 그는 자신의 감독으로서의 역할은 "배우를 위한 거울 – 거짓말을 할 수 없는 거울"이라고 생각한다.[111]
비평가들은 알모도바르가 스페인 영화와 스페인에 대한 인식을 재정의했다고 믿는다.[112] 투우, 가스파초, 플라멩코와 같은 스페인의 전형적인 이미지와 상징이 그의 영화에 등장했고, 그의 대부분의 영화는 마드리드에서 촬영되었다.[113] 스페인 사람들은 알모도바르의 작품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는 "알모도바르가 프랑코 이후 스페인에서 스페인인이라는 의미를 재협상하고 이상을 재활용했다"[106]고 믿는 반면, 다른 일부는 그들의 본질이 우연한 외국인에게 "다소 이국적이고 다채로운 문화의 또 다른 기발한 이미지"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95] 그러나 알모도바르는 "[내] 영화는 매우 스페인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변덕스럽게 개인적이다. 나의 영화로 스페인을 측정할 수는 없다"고 인정했다.[114] 알모도바르는 특히 프랑스와 미국에서 스페인 외부의 평론가들에게 더 호평받고 있다.[95]
자신의 영화의 성공을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알모도바르는 영화가 매우 재밌다고 말한다. "영화는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핵심이다."[24] 그는 또한 터무니없는 상황이나 캐릭터를 등장시켜 관객들에게 충격을 주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스크린 속 사람들이 이러한 끔찍한 고난을 견뎌내고 여전히 소통할 수 있다면, 그들도 그럴 수 있다"는 것을 시청자들에게 알리는 정치적 또는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107]
알모도바르는 자신의 모든 영화가 "가장 경솔한 영화조차도" 정치적이라고 믿지만, 영화에서 노골적인 정치적 목표를 추구하거나 사회 불의와 싸우려고 시도한 적이 없으며, 단지 즐겁게 하고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싶어했다고 주장했다.[111] "나는 정치적인 감독이 아니다. 영화 제작자로서 나의 목표는 도덕적인 관점에서 완전히 자율적인 자유로운 사람들을 창조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사회 계급이나 직업에 관계없이 자유롭다"라고 알모도바르는 말했다.[100] 그러나 그는 프랑코 사후 바로 개봉된 초기 영화에서 프랑코와 그의 억압이 존재하지 않는 영화 속 세계를 만들고 싶어했다고 인정했고,[115] 그렇게 함으로써 "스페인의 소외된 계층의 목소리를 제공했다."[92]
알모도바르는 언더그라운드와 LGBT 문화의 요소를 폭넓은 대중적 호소력을 가진 주류 형태에 통합했다.[116] 학자들은 퀴어 영화에서 감독의 중요성을 인정했다.[117][118] 알모도바르는 게이 영화 제작자로 낙인찍히는 것을 싫어하지만, 《Pop Matters》의 코트니 영은 그가 성별과 성 정체성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놀면서 경계를 허물었고, 이것이 그의 작품을 퀴어 영화 캐논에 위치시킨다고 주장했다.[119] 영은 또한 알모도바르의 유동적인 성적 관념에 대해 언급했는데, 그의 영화 속에서 LGBT 캐릭터는 이미 성적으로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밍 아웃할 필요가 없으며, "LGBTQI 경험에 대한 진부한 묘사를 넘어서는 복잡한 인물들로 서사에 활기를 불어넣는다."[119] 그녀는 또한 알모도바르 영화에서 게이 남성과 이성애 여성 간의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썼다.[119] 결론적으로 영은 "알모도바르는 그가 보기에 퀴어 경험이 마땅히 받아야 할 존엄성, 존중, 관심, 인정을 부여하는 오토르이다"라고 말했다.[119]
그는 2017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120][121] 그는 2001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
알모도바르는 자신의 영화에 특정 배우들을 자주 캐스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연, 조연 또는 카메오 역할로 그의 영화에 3편 이상 출연한 배우들은 다음과 같다.
배우 | 출연 작품 수 | 작품 목록 | |||||||||||||||||||||||||||||||||||||||||||||||||||||||||||||||||||||||||||||||||||||||||||||||||||||||||||||||||||||||||||||||||||||||||||||||||
---|---|---|---|---|---|---|---|---|---|---|---|---|---|---|---|---|---|---|---|---|---|---|---|---|---|---|---|---|---|---|---|---|---|---|---|---|---|---|---|---|---|---|---|---|---|---|---|---|---|---|---|---|---|---|---|---|---|---|---|---|---|---|---|---|---|---|---|---|---|---|---|---|---|---|---|---|---|---|---|---|---|---|---|---|---|---|---|---|---|---|---|---|---|---|---|---|---|---|---|---|---|---|---|---|---|---|---|---|---|---|---|---|---|---|---|---|---|---|---|---|---|---|---|---|---|---|---|---|---|---|---|---|---|---|---|---|---|---|---|---|---|---|---|---|---|---|---|
추스 람프레아베(Chus Lampreave) | 8 | 어두운 습관(Dark Habits), 이런 일이 내게 왜 일어났을까?(What Have I Done to Deserve This?), 마타도르(Matador), 여자를 꼬시는 법(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내 비밀의 꽃(The Flower of My Secret), 볼베르(Volver), 깨진 포옹(Broken Embraces) | |||||||||||||||||||||||||||||||||||||||||||||||||||||||||||||||||||||||||||||||||||||||||||||||||||||||||||||||||||||||||||||||||||||||||||||||||
안토니오 반데라스(Antonio Banderas) | 8 | 열정의 미궁(Labyrinth of Passion), 마타도르(Matador), 욕망의 법칙(Law of Desire), 여자를 꼬시는 법(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나를 묶어줘!(Tie Me Up! Tie Me Down!), 내가 사는 피부(The Skin I Live In), '흥분했어!(Im So Excited!), 고통과 영광(Pain and Glory)'' | |||||||||||||||||||||||||||||||||||||||||||||||||||||||||||||||||||||||||||||||||||||||||||||||||||||||||||||||||||||||||||||||||||||||||||||||||
로시 드 팔마(Rossy de Palma) | 8 | 욕망의 법칙(Law of Desire), 여자를 꼬시는 법(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키카(Kika), 내 비밀의 꽃(The Flower of My Secret), 깨진 포옹(Broken Embraces), 훌리에타(Julieta)] | |||||||||||||||||||||||||||||||||||||||||||||||||||||||||||||||||||||||||||||||||||||||||||||||||||||||||||||||||||||||||||||||||||||||||||||||||
카르멘 마우라(Carmen Maura) | 7 | 페피, 루치, 봄(Pepi, Luci, Bom), 어두운 습관(Dark Habits), 이런 일이 내게 왜 일어났을까?(What Have I Done to Deserve This?), 마타도르(Matador), 욕망의 법칙(Law of Desire), 볼베르(Volver) | |||||||||||||||||||||||||||||||||||||||||||||||||||||||||||||||||||||||||||||||||||||||||||||||||||||||||||||||||||||||||||||||||||||||||||||||||
세실리아 로스(Cecilia Roth) | 7 | 페피, 루치, 봄(Pepi, Luci, Bom), 열정의 미궁(Labyrinth of Passion), 어두운 습관(Dark Habits), 이런 일이 내게 왜 일어났을까?(What Have I Done to Deserve This?), 올 어바웃 마이 마더(All About My Mother), 토크 투 허(Talk to Her), '
5. 작품 목록
6. 수상 및 후보『마타도르』 | 수상 |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3위 | ||||||||||||||||||||||||||||||||||||||||||||||||||||||||||||||||||||||||||||||||||||||||||||||||||||||||||||||||||||||||||||||||||||||||||||||||
2002년 | 작품상 | 『토크 투 허』 | 3위 | ||||||||||||||||||||||||||||||||||||||||||||||||||||||||||||||||||||||||||||||||||||||||||||||||||||||||||||||||||||||||||||||||||||||||||||||||
감독상 | 2위 | ||||||||||||||||||||||||||||||||||||||||||||||||||||||||||||||||||||||||||||||||||||||||||||||||||||||||||||||||||||||||||||||||||||||||||||||||||
외국어 영화상 | 2위 | ||||||||||||||||||||||||||||||||||||||||||||||||||||||||||||||||||||||||||||||||||||||||||||||||||||||||||||||||||||||||||||||||||||||||||||||||||
2021년 | 각본상 | 『패러렐 마더스』 | 2위 |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88년 | 외국어 영화상 | 『여자들』 | 수상 |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2년 | 작품상 | 『토크 투 허』 | 차점 | ||||||||||||||||||||||||||||||||||||||||||||||||||||||||||||||||||||||||||||||||||||||||||||||||||||||||||||||||||||||||||||||||||||||||||||||||
감독상 | 차점 | ||||||||||||||||||||||||||||||||||||||||||||||||||||||||||||||||||||||||||||||||||||||||||||||||||||||||||||||||||||||||||||||||||||||||||||||||||
외국어 영화상 | 차점 | ||||||||||||||||||||||||||||||||||||||||||||||||||||||||||||||||||||||||||||||||||||||||||||||||||||||||||||||||||||||||||||||||||||||||||||||||||
2004년 | 외국어 영화상 | 『나쁜 교육』 | 수상 | ||||||||||||||||||||||||||||||||||||||||||||||||||||||||||||||||||||||||||||||||||||||||||||||||||||||||||||||||||||||||||||||||||||||||||||||||
2006년 | 외국어 영화상 | 『볼베르<귀향>』 | 차점 | ||||||||||||||||||||||||||||||||||||||||||||||||||||||||||||||||||||||||||||||||||||||||||||||||||||||||||||||||||||||||||||||||||||||||||||||||
2009년 | 외국어 영화상 | 『깨진 포옹』 | 2위 |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 1988년 | 외국어 영화상 | 『여자들』 | 수상 |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2년 | 외국어 영화상 | 『토크 투 허』 | 수상 | ||||||||||||||||||||||||||||||||||||||||||||||||||||||||||||||||||||||||||||||||||||||||||||||||||||||||||||||||||||||||||||||||||||||||||||||||
2006년 | 외국어 영화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유럽 영화상 | 1988년 | 신인 감독상 | 『여자들』 | 수상 | |||||||||||||||||||||||||||||||||||||||||||||||||||||||||||||||||||||||||||||||||||||||||||||||||||||||||||||||||||||||||||||||||||||||||||||||
1998년 | 작품상 | 『살아있는 살점』 | 후보 | ||||||||||||||||||||||||||||||||||||||||||||||||||||||||||||||||||||||||||||||||||||||||||||||||||||||||||||||||||||||||||||||||||||||||||||||||
1999년 | 작품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2년 | 작품상 | 『토크 투 허』 | 수상 | ||||||||||||||||||||||||||||||||||||||||||||||||||||||||||||||||||||||||||||||||||||||||||||||||||||||||||||||||||||||||||||||||||||||||||||||||
감독상 | 수상 | ||||||||||||||||||||||||||||||||||||||||||||||||||||||||||||||||||||||||||||||||||||||||||||||||||||||||||||||||||||||||||||||||||||||||||||||||||
각본상 | 수상 | ||||||||||||||||||||||||||||||||||||||||||||||||||||||||||||||||||||||||||||||||||||||||||||||||||||||||||||||||||||||||||||||||||||||||||||||||||
2004년 | 작품상 | 『나쁜 교육』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2006년 | 작품상 | 『볼베르<귀향>』 | 후보 | ||||||||||||||||||||||||||||||||||||||||||||||||||||||||||||||||||||||||||||||||||||||||||||||||||||||||||||||||||||||||||||||||||||||||||||||||
감독상 | 수상 | ||||||||||||||||||||||||||||||||||||||||||||||||||||||||||||||||||||||||||||||||||||||||||||||||||||||||||||||||||||||||||||||||||||||||||||||||||
각본상 | 후보 | ||||||||||||||||||||||||||||||||||||||||||||||||||||||||||||||||||||||||||||||||||||||||||||||||||||||||||||||||||||||||||||||||||||||||||||||||||
2009년 | 감독상 | 『깨진 포옹』 | 후보 | ||||||||||||||||||||||||||||||||||||||||||||||||||||||||||||||||||||||||||||||||||||||||||||||||||||||||||||||||||||||||||||||||||||||||||||||||
2013년 | 평생 공로상 | 수상 | |||||||||||||||||||||||||||||||||||||||||||||||||||||||||||||||||||||||||||||||||||||||||||||||||||||||||||||||||||||||||||||||||||||||||||||||||
2016년 | 작품상 | 『줄리에타』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2019년 | 작품상 | 『페인 앤 글로리』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각본상 | 후보 | ||||||||||||||||||||||||||||||||||||||||||||||||||||||||||||||||||||||||||||||||||||||||||||||||||||||||||||||||||||||||||||||||||||||||||||||||||
고야상 | 1988년 | 작품상 | 『여자들』 | 수상 | |||||||||||||||||||||||||||||||||||||||||||||||||||||||||||||||||||||||||||||||||||||||||||||||||||||||||||||||||||||||||||||||||||||||||||||||
감독상 | 후보 | ||||||||||||||||||||||||||||||||||||||||||||||||||||||||||||||||||||||||||||||||||||||||||||||||||||||||||||||||||||||||||||||||||||||||||||||||||
각본상 | 수상 | ||||||||||||||||||||||||||||||||||||||||||||||||||||||||||||||||||||||||||||||||||||||||||||||||||||||||||||||||||||||||||||||||||||||||||||||||||
1990년 | 작품상 | 『아타메』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1995년 | 감독상 | 『내 비밀의 꽃』 | 후보 | ||||||||||||||||||||||||||||||||||||||||||||||||||||||||||||||||||||||||||||||||||||||||||||||||||||||||||||||||||||||||||||||||||||||||||||||||
1999년 | 작품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감독상 | 수상 | ||||||||||||||||||||||||||||||||||||||||||||||||||||||||||||||||||||||||||||||||||||||||||||||||||||||||||||||||||||||||||||||||||||||||||||||||||
2002년 | 작품상 | 『토크 투 허』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2004년 | 작품상 | 『나쁜 교육』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2006년 | 작품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감독상 | 수상 | ||||||||||||||||||||||||||||||||||||||||||||||||||||||||||||||||||||||||||||||||||||||||||||||||||||||||||||||||||||||||||||||||||||||||||||||||||
2011년 | 작품상 | 『내가 사는 살갗』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2016년 | 작품상 | 『줄리에타』 | 후보 | ||||||||||||||||||||||||||||||||||||||||||||||||||||||||||||||||||||||||||||||||||||||||||||||||||||||||||||||||||||||||||||||||||||||||||||||||
감독상 | 후보 | ||||||||||||||||||||||||||||||||||||||||||||||||||||||||||||||||||||||||||||||||||||||||||||||||||||||||||||||||||||||||||||||||||||||||||||||||||
2019년 | 작품상 | 『페인 앤 글로리』 | 수상 | ||||||||||||||||||||||||||||||||||||||||||||||||||||||||||||||||||||||||||||||||||||||||||||||||||||||||||||||||||||||||||||||||||||||||||||||||
감독상 | 수상 | ||||||||||||||||||||||||||||||||||||||||||||||||||||||||||||||||||||||||||||||||||||||||||||||||||||||||||||||||||||||||||||||||||||||||||||||||||
각본상 | 수상 |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1989년 | 외국 감독상 | 『여자들』 | 수상 | |||||||||||||||||||||||||||||||||||||||||||||||||||||||||||||||||||||||||||||||||||||||||||||||||||||||||||||||||||||||||||||||||||||||||||||||
2000년 | 외국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나스트로 다르젠토상 | 1989년 | 외국 감독상 | 『여자들』 | 수상 | |||||||||||||||||||||||||||||||||||||||||||||||||||||||||||||||||||||||||||||||||||||||||||||||||||||||||||||||||||||||||||||||||||||||||||||||
1998년 | 외국 감독상 | 『살아있는 살점』 | 수상 | ||||||||||||||||||||||||||||||||||||||||||||||||||||||||||||||||||||||||||||||||||||||||||||||||||||||||||||||||||||||||||||||||||||||||||||||||
2005년 | 외국 감독상 | 『나쁜 교육』 | 수상 | ||||||||||||||||||||||||||||||||||||||||||||||||||||||||||||||||||||||||||||||||||||||||||||||||||||||||||||||||||||||||||||||||||||||||||||||||
2007년 | 유럽 영화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세자르상 | 1991년 | 외국 영화상 | 『아타메』 | 후보 | |||||||||||||||||||||||||||||||||||||||||||||||||||||||||||||||||||||||||||||||||||||||||||||||||||||||||||||||||||||||||||||||||||||||||||||||
1993년 | 외국 영화상 | 『하이힐』 | 수상 | ||||||||||||||||||||||||||||||||||||||||||||||||||||||||||||||||||||||||||||||||||||||||||||||||||||||||||||||||||||||||||||||||||||||||||||||||
1999년 | 명예상 | 수상 | |||||||||||||||||||||||||||||||||||||||||||||||||||||||||||||||||||||||||||||||||||||||||||||||||||||||||||||||||||||||||||||||||||||||||||||||||
2000년 | 외국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3년 | EU 작품상 | 『토크 투 허』 | 수상 | ||||||||||||||||||||||||||||||||||||||||||||||||||||||||||||||||||||||||||||||||||||||||||||||||||||||||||||||||||||||||||||||||||||||||||||||||
2007년 | 외국 영화상 | 『볼베르<귀향>』 | 후보 | ||||||||||||||||||||||||||||||||||||||||||||||||||||||||||||||||||||||||||||||||||||||||||||||||||||||||||||||||||||||||||||||||||||||||||||||||
칸느 국제영화제 | 1999년 | 감독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1999년 |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6년 | 각본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방송영화비평가협회상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9년 | 외국어 영화상 | 『깨진 포옹』 | 수상 |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99년 | 외국어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6년 | 외국어 영화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국제영화평론가연맹상 | 1999년 | 그랑프리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6년 | 그랑프리 | 『볼베르<귀향>』 | 수상 | ||||||||||||||||||||||||||||||||||||||||||||||||||||||||||||||||||||||||||||||||||||||||||||||||||||||||||||||||||||||||||||||||||||||||||||||||
골든 비틀상 | 1999년 | 외국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보딜상 | 2000년 | 비미국 영화상 | 『올 어바웃 마이 마더』 | 수상 | |||||||||||||||||||||||||||||||||||||||||||||||||||||||||||||||||||||||||||||||||||||||||||||||||||||||||||||||||||||||||||||||||||||||||||||||
2003년 | 비미국 영화상 | 『토크 투 허』 | 수상 | ||||||||||||||||||||||||||||||||||||||||||||||||||||||||||||||||||||||||||||||||||||||||||||||||||||||||||||||||||||||||||||||||||||||||||||||||
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2002년 | 외국어 영화상 | 『토크 투 허』 | 수상 | |||||||||||||||||||||||||||||||||||||||||||||||||||||||||||||||||||||||||||||||||||||||||||||||||||||||||||||||||||||||||||||||||||||||||||||||
2006년 | 외국어 영화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스페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2006년 | 작품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2006년 | 감독상 | 『볼베르<귀향>』 | 수상 | ||||||||||||||||||||||||||||||||||||||||||||||||||||||||||||||||||||||||||||||||||||||||||||||||||||||||||||||||||||||||||||||||||||||||||||||||
2019년 | 작품상 | 『페인 앤 글로리』 | 수상 | ||||||||||||||||||||||||||||||||||||||||||||||||||||||||||||||||||||||||||||||||||||||||||||||||||||||||||||||||||||||||||||||||||||||||||||||||
2019년 | 감독상 | 『페인 앤 글로리』 | 수상 | ||||||||||||||||||||||||||||||||||||||||||||||||||||||||||||||||||||||||||||||||||||||||||||||||||||||||||||||||||||||||||||||||||||||||||||||||
2019년 | 각본상 | 『페인 앤 글로리』 | 수상 |
7. 사생활
알모도바르는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이며,[135] 34세까지 양성애자였다고 말한다.[136] 2002년부터 배우이자 사진작가인 페르난도 이글레시아스와 함께 지내고 있으며, 종종 자신의 영화에 그를 작은 역할로 출연시킨다.[137] 두 사람은 마드리드 인근 지역의 별도 주택에 거주하는데, 알모도바르는 아르구엘레스에, 이글레시아스는 말라사냐에 살고 있다.[138] 알모도바르는 예전에 도시 동쪽 Calle de O'Donnell 거리에 살았지만, 2007년 서쪽 Paseo del Pintor Rosales에 있는 300만유로짜리 아파트로 이사했다.[139]
2009년, 알모도바르는 로만 폴란스키를 지지하는 서명 운동에 참여하여, 폴란스키가 스위스에서 체포된 후 13세 소녀를 약물을 이용해 강간한 혐의로 기소된 1977년 사건과 관련하여 석방을 촉구했다.[140]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는 민주당 후보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했다.[141]
참조
[1]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5
[2]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s 'The Room Next Door' wins Golden Lion at Venice Film Festival
https://www.screenda[...]
2024-09-07
[3]
웹사이트
Winners 2013
http://www.europeanf[...]
European Film Academy
2013-12-09
[4]
웹사이트
Biennale Cinema 2019 Pedro Almodóvar, Golden Lion for Lifetime Achievement
https://www.labienna[...]
2022-12-08
[5]
웹사이트
Pedro Almodovar to Receive Lifetime Achievement Award at Venice Film Festival
https://variety.com/[...]
2022-12-08
[6]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To Receive Venice Film Festival Golden Lion For Lifetime Achievement
https://deadline.com[...]
2022-12-08
[7]
웹사이트
Ten honorary degrees awarded at Commencement
http://news.harvard.[...]
2014-05-22
[8]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doctor honoris causa por Oxford | Cultura | EL MUNDO
http://www.elmundo.e[...]
2016-03-29
[9]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Biography
https://web.archive.[...]
Biography.com
2015-05-09
[10]
웹사이트
Agustín Almodóvar, 'Todo sobre mi hermano' | loc | EL MUNDO
http://www.elmundo.e[...]
2016-04-08
[11]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on his new film 'I'm so Excited!'
http://www.scotsman.[...]
Scotsman.com
2015-05-09
[12]
뉴스
The Redeemer : Pedro Almodovar : Cannes: The Slow Drive to Triumph
https://www.nytimes.[...]
2004-09-05
[13]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It's my gayest film ever' | Film
https://www.theguard[...]
2015-05-09
[14]
서적
Pedro Almodóvar
[15]
서적
A Spanish Labyrinth
[16]
서적
Pedro Almodóvar
[17]
웹사이트
Almodóvar rescatará tres filmes en súper 8 anteriores a su primera película
http://www.elmundo.e[...]
Elmundo.es
2006-10-18
[18]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interview for The Skin I Live In
https://www.telegrap[...]
2015-05-09
[19]
웹사이트
Women on the verge of song and dance: Almodóvar's world is pure theatre | Stage
https://www.theguard[...]
2015-05-09
[20]
웹사이트
Almodóvar no da crédito: Su principal compañero de la 'Movida' se ha convertido en "portavoz delirante de Gallardón" : Periódico digital progresista
https://archive.toda[...]
2014-12-29
[21]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el genio del cine español
http://www.elmundo.e[...]
Elmundo.es
2015-05-09
[22]
웹사이트
The Call of the Wild How Did Pedro Almodovar Go From Phone-company Worker To Spain's Hottest Director?
https://web.archive.[...]
Articles.philly.com
2015-05-09
[23]
웹사이트
Almodóvar celebrates 61 years with "I'm So Excited" (Video)
https://web.archive.[...]
Laopinion.com
2015-01-03
[24]
뉴스
Director Pedro Almodovar is haunted by one taboo
https://www.google.c[...]
2009-11-19
[25]
서적
Almodóvar: Labyrinth of Passion
[26]
서적
Almodóvar Secreto: Cobos and Marias
[27]
서적
A Spanish Labyrinth
[28]
웹사이트
Tea with the FT: Pedro Almodóvar
http://www.ft.com/cm[...]
FT.com
2015-05-09
[29]
뉴스
Pepi, Luci, Bom – Film Calendar
http://www.austinchr[...]
2016-05-12
[30]
서적
Pedro Almodóvar
[31]
뉴스
FILM – Carmen Maura – Good Times for a 'Bad Woman'
https://www.nytimes.[...]
1988-10-23
[32]
서적
Pedro Almodóvar
[33]
웹사이트
Early Almodóvar – Harvard Film Archive
https://web.archive.[...]
2016-05-12
[34]
서적
Almodóvar on Almodóvar
[35]
웹사이트
Antonio Banderas takes a leap of faith in The Skin I Live In | Georgia Straight Vancouver's News & Entertainment Weekly
https://www.straight[...]
2016-05-12
[36]
웹사이트
Dark Habits – A Sister Act of Sacrilegious Salvation
http://www.moviemail[...]
2013-05-29
[37]
뉴스
Vuelve 'Entre tinieblas' | Edición impresa | EL PAÍS
http://elpais.com/di[...]
1996-08-07
[38]
웹사이트
Ted Anton on Truman Capote's "A Day's Work"
https://assayjournal[...]
2015-04-27
[39]
서적
Pedro Almodóvar
[40]
서적
Almodóvar on Almodóvar
[41]
서적
Almodóvar Secreto: Cobos and Marias
[42]
웹사이트
Women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1988)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1988-11-11
[43]
웹사이트
The 61st Academy Awards (1989)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44]
뉴스
X Film Rating Dropped and Replaced by NC-17 : Movies: Designation would bar children under 17. Move expected to clear the way for strong adult themes. – latimes
https://www.latimes.[...]
Articles.latimes.com
1990-09-27
[45]
영화
All About my Mother
[46]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All About My Mother
http://www.festival-[...]
[47]
웹사이트
All About My Mother (1999)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2-08-28
[48]
서적
Pedro Almodóvar
[49]
웹사이트
The Films of Pedro Almodóvar: A Retrospective
http://blogs.indiewi[...]
2011-10-14
[50]
웹사이트
Talk to Her (2002)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51]
서적
Pedro Almodóvar
[52]
서적
Almodóvar on Almodóvar
[53]
뉴스
Almodovar puts 'Education' to use
https://variety.com/[...]
2004-11-04
[54]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Bad Education
http://www.festival-[...]
[55]
웹사이트
Bad Education (2004)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5-04-25
[56]
웹사이트
Volver (2006)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57]
웹사이트
Review: Broken Embraces
https://www.filmcomm[...]
[58]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Broken Embraces
http://www.festival-[...]
[59]
웹사이트
Broken Embraces (2009)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5-27
[60]
웹사이트
Broken Embraces movie review
https://www.rogerebe[...]
[61]
뉴스
Bafta Film Awards: 2010 winners
http://news.bbc.co.u[...]
2010-02-21
[62]
웹사이트
Golden Globes nominations: the 2010 list in full
https://www.theguard[...]
2009-12-15
[63]
웹사이트
Mygale (Tarantula) (The Skin I Live In) – Thierry Jonquet
http://www.complete-[...]
Complete-review.com
[64]
서적
Some Notes About The Skin I Live In
[65]
웹사이트
Review: The Skin I Live In
https://www.filmcomm[...]
[66]
웹사이트
Antonio Banderas To Carve Up The Skin I Live In
https://www.dreadcen[...]
Dreadcentral.com
2010-05-05
[67]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Finally Unites Penélope Cruz and Antonio Banderas
https://www.wmagazin[...]
2019-01-31
[68]
웹사이트
The Skin I Live In (2011)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2-03-29
[69]
웹사이트
Almodóvar hoping for fifth Bafta with "The Skin I Live In"
https://www.thinkspa[...]
[70]
웹사이트
The Skin I Live In
https://www.goldengl[...]
[71]
뉴스
Almodovar laughs with The Brief Lovers | News | Screen
http://www.screendai[...]
2014-05-22
[72]
웹사이트
Out of Frame: I'm So Excited
https://dcist.com/st[...]
2020-11-22
[73]
웹사이트
I'm So Excited (2013)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3-11-07
[74]
웹사이트
Pedro Almodovar Announces New Cast for Film 'Silencio' : Entertainment
http://www.latinpost[...]
Latinpost.com
2015-03-29
[75]
웹사이트
Tea with the FT: Pedro Almodóvar
http://www.ft.com/cm[...]
FT.com
2015-01-02
[76]
웹사이트
'Silencio': Pedro Almodóvar is filming | In English | EL PAÍS
http://elpais.com/el[...]
Elpais.com
2015-03-27
[77]
웹사이트
Rossy de Palma: "A Almodóvar nunca le he pedido nada" | Vanity Fair
https://web.archive.[...]
Revistavanityfair.es
2015-01-16
[78]
논문
Review: 'Julieta' is Pedro Almodovar's Best Film in Years
http://www.newsweek.[...]
2016-12-23
[79]
뉴스
'Julieta' representará a España en los Oscar
http://cultura.elpai[...]
2016-09-07
[80]
웹사이트
Sony Pictures to Release Pedro Almodovar's 'Pain & Glory' (EXCLUSIVE)
https://variety.com/[...]
2018-12-13
[81]
웹사이트
Cannes festival 2019: full list of films
https://www.theguard[...]
[82]
웹사이트
Director Pedro Almodóvar on semi-autobiographical film 'Pain and Glory – and refusing to work in Hollywood
https://www.channel4[...]
2019-08-23
[83]
웹사이트
Pedro Almodovar, Penelope Cruz Look to Team Up on Motherhood-Themed 'Madres Paralelas'
https://variety.com/[...]
2020-06-30
[84]
웹사이트
Penélope Cruz in Pedro Almodóvar's 'Parallel Mothers' ('Madres Paralelas'): Film Review - Venice 2021
https://www.hollywoo[...]
2021-09
[85]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s 'Strange Way of Life' Sets October Theatrical Debut from Sony Classics
https://www.indiewir[...]
2023-08-03
[86]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has a book out this fall, a 'fragmentary autobiography' called 'The Last Dream'
https://apnews.com/a[...]
2024-01-29
[87]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 Der letzte Traum. Zwölf Erzählungen
https://www.swr.de/s[...]
2024-03-28
[88]
뉴스
Pedro Almodóvar: 'Life needs fiction to make it bearable'
https://www.theguard[...]
2024-09-07
[89]
웹사이트
Julianne Moore Cast in Pedro Almodovar's 'The Room Next Door'
https://www.worldofr[...]
2024-01-22
[90]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s 'The Room Next Door' wins Golden Lion at Venice Film Festival
https://www.screenda[...]
[91]
웹사이트
Los 9 temas más reconocibles del cine de Almodóvar - Cinefilia - Fotogramas
https://web.archive.[...]
[92]
웹사이트
A beginner's guide to the twisty melodrama of Pedro Almodóvar · Primer
https://www.avclub.c[...]
2016-01-11
[93]
뉴스
ABCD
https://www.nytimes.[...]
2009-04-30
[94]
웹사이트
http://homemcr.org/a[...]
2016-05
[95]
웹사이트
Lost in Translation
https://www.popmatte[...]
PopMatters
[96]
웹사이트
All About Almodóvar
https://www.dga.org/[...]
[97]
웹사이트
Almodovar Looks To Films of Wilder For Motivation
https://www.chicagot[...]
1989-03-02
[98]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 'Mis influencias han sido Andy Warhol y Lola Flores'
http://www.elcultura[...]
2008-11-13
[99]
웹사이트
Love in a time of intolerance
https://www.telegrap[...]
2003-02-15
[100]
웹사이트
ALMODOVAR : SA GRANDE CONFESSION | Le meilleur magazine de cinéma du monde
http://www.sofilm.fr[...]
2016-05-09
[101]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 Great Director profile • Senses of Cinema
http://sensesofcinem[...]
2002-10-04
[102]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Talks About Spanish Cinema He Loves
https://variety.com/[...]
Variety
2014-10-15
[103]
웹사이트
Viva Pedro: The Almodóvar Interview
https://www.popmatte[...]
PopMatters
[104]
웹사이트
Referencing & Recycling
https://www.popmatte[...]
PopMatters
2009-11-16
[105]
서적
Almodóvar on Almódovar
Strauss
[106]
웹사이트
Pedro Almodovar's Renegotiation of the Spanish Identity
http://www.moviesin2[...]
Movies in 203
2011-01-11
[107]
웹사이트
Pedro Almodovar's filmography: What I learned from watching all his films
http://www.slate.com[...]
2011-10-13
[108]
웹사이트
Pedro Party: What Have I Done To Deserve This? & Volver
http://thefilmexperi[...]
2017-05-15
[109]
웹사이트
Almodóvar: puedo sobrevivir sin Palma de Oro pero no sin cine | La Nación
http://www.lanacion.[...]
2016-05-07
[110]
웹사이트
Woman or Object: Selected Female Roles in the Films of Pedro Almodóvar
https://www.popmatte[...]
PopMatters
2009-11-17
[111]
웹사이트
Pedro Almodovar Discusses Career Influences, Women's Natural Acting Skills
https://www.hollywoo[...]
Hollywood Reporter
2012-11-18
[112]
서적
Film
Bergan
[113]
뉴스
All about Madrid | Travel
https://www.theguard[...]
[114]
잡지
Interview with Ela Troyano
http://bombsite.com/[...]
1994-03-01
[115]
웹사이트
The GQ+A: Pedro Almodovar
https://www.gq.com/s[...]
GQ
2013-05-29
[116]
웹사이트
Almodóvar y el sexo
http://www.elmundo.e[...]
2006-12-22
[117]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queer pioneer – Parade@Portsmouth
http://eprints.port.[...]
[118]
웹사이트
Lambda Literary
http://www.lambdalit[...]
Lambda Literary
2015-08-05
[119]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s Quintessentially Pansexual Oeuvre
https://www.popmatte[...]
PopMatters
2009-11-17
[120]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President of the Jury of the 70th Festival de Cannes
http://www.festival-[...]
[121]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Leone d'oro a Venezia: "Sarà la mia mascotte insieme ai gatti"
https://www.repubbli[...]
2019-06-14
[122]
웹사이트
Almodovar muse Chus Lampreave is dead at 85
http://www.slate.com[...]
2016-04-04
[123]
웹사이트
Heroines of Cinema: Almodóvar's Seven Favorite Actresses
https://www.indiewir[...]
Indiewire
2013-11-14
[124]
뉴스
Ser chica Almodóvar | Estilo | EL PAÍS
http://elpais.com/el[...]
2015-10-31
[125]
웹사이트
Agustín Almodóvar: "Hemos perdido el derecho moral sobre nuestras películas"
http://www.rtve.es/n[...]
2013-12-19
[126]
웹사이트
Esther García (El Deseo): "Almodóvar convierte en una obra cinematográfica lo que quiere con total libertad"
http://www.europapre[...]
2015-11-20
[127]
웹사이트
Tea with the FT: Pedro Almodóvar
http://www.ft.com/cm[...]
2015-01-02
[128]
웹사이트
Actualidad en el cine español
http://actualidad.ac[...]
[129]
웹사이트
Jose Luis Alcaine to get Golden Camera 300 at 2013 Manaki Brothers
http://www.moviescop[...]
[130]
웹사이트
Ángel Luis Fernández, un iluminador emblemático
https://www.academia[...]
[131]
웹사이트
Fallece el músico de la movida Bernardo Bonezzi
http://www.rtve.es/n[...]
2012-08-30
[132]
논문
Significantes intertextuales en la banda sonora de Bernardo Bonezzi: paradigma del cine de Pedro Almodóvar
2022
[133]
웹사이트
Scoring for Spain: the film music of Alberto Iglesias | by Bachtrack for classical music, opera, ballet and dance event reviews
https://bachtrack.co[...]
2014-11-11
[134]
웹사이트
En venta el baúl de los tesoros de Almodóvar | Cultura
http://www.elmundo.e[...]
2010-12-15
[135]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http://www.oneequalw[...]
Oneequalworld.com
2013-06-10
[136]
잡지
The Evolution of Pedro Almodóvar
http://www.newyorker[...]
2016-11-28
[137]
웹사이트
El novio de Pedro Almodóvar, Fernando Iglesias, sale del anonimato en el cine
http://www.lavozlibr[...]
[138]
웹사이트
Almodóvar y su novio reviven la llama del amor con Caetano Veloso | loc | EL MUNDO
http://www.vanitatis[...]
2015-07-23
[139]
웹사이트
Almodóvar compra casa en Pintor Rosales. Noticias de Noticias
http://www.elmundo.e[...]
2007-06-21
[140]
뉴스
Release Polanski, demands petition by film industry luminaries
https://www.theguard[...]
2009-09-29
[141]
뉴스
Filmmakers Endorsing Hillary Clinton: George Clooney, Sean Penn, Lake Bell
https://www.indiewir[...]
Indiewire
2016-11-04
[142]
웹사이트
Tax havens: Pedro Almodóvar breaks silence over Panama Papers | In English | EL PAÍS
http://elpais.com/el[...]
2016-04-15
[143]
뉴스
Pedro Almodovar Cancels Press for New Film After Panama Papers Mention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16-04-05
[144]
웹사이트
Agustín Almodóvar Takes The Fall For Filmmaker Brother Pedro in Panama Papers Company | The Spain Report
https://web.archive.[...]
2016-04-04
[145]
웹사이트
Agustín Almodóvar interview: producer talks Panama Papers, 'Julieta' box office | News | Screen
http://www.screendai[...]
2016-04-21
[146]
웹사이트
Pedro Almodóvar sobre los papeles de Panamá: "Soy absolutamente responsable"
http://www.lavanguar[...]
2016-04-14
[147]
웹사이트
'Julieta', el peor estreno en la taquilla de Pedro Almodóvar en 20 años | Cultura
http://www.elmundo.e[...]
2016-04-11
[148]
웹사이트
第70回カンヌ映画祭審査員長、スペインの巨匠ペドロ・アルモドバル監督に決定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7-02-03
[149]
뉴스
巨匠ペドロ・アルモドバルがつむぐ母と娘の物語「ジュリエッタ」特報公開
https://eiga.com/new[...]
2016-08-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세계적 영화감독이 ‘기생충’ 지적하며 쓴 소설의 진실 [.txt]
[책과 삶] 영화 거장 알모도바르의 영화 아닌, 영화 같은 소설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